Elasticsearch 7.3 활용해보기 #7 – index의 갱신
현재 만들고 있는 서비스에서는 MariaDB와 연동하여 검색데이터를 색인하고 있습니다. MariaDB에서 변경되는점을 바로 Elasticsearch에서 갱신할 수 없기 때문에 일정시간마다 동기화(?) 해주는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물론 -_-.. 할수는 있지만… 성능적으로 볼때 잦은…
현재 만들고 있는 서비스에서는 MariaDB와 연동하여 검색데이터를 색인하고 있습니다. MariaDB에서 변경되는점을 바로 Elasticsearch에서 갱신할 수 없기 때문에 일정시간마다 동기화(?) 해주는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물론 -_-.. 할수는 있지만… 성능적으로 볼때 잦은…
계획 없이 포스팅 하기 시작해서 언제까지 elasticsearch에 대해서 적을지에 대한 계획은 없습니다. 기존에 _search api를 통해서 검색을 해보았는데, 실무에 활용하다보니 갈수록 쿼리가 많아지게 되어서 찾아보니… 여러개의 쿼리를 한번에 보낼 수…
DB라면 기본적인 CRUD를 만들어봅시다. Elasticsearch는 RestAPI 다루듯이 쿼리한다고 생각하면 접근이 쉽습니다. 실제로 http 프로토콜로도 쿼리가 가능해서 서버에서 cros 접근설정이 되어있다면, Javascript로도 충분히 컨트롤이 가능하지요.. RestAPI에서 데이터를 가져올때 GET, 추가할때 POST,…
생각해보니 이 앞전에 해보았던 자연어 처리기를 활용하여 인덱스에 세팅해보니 뭔가가 부족함이 있어 보입니다. 무슨 말이냐면, 붙어있는 단어들을 처리하지 못해서 mysql 에서의 field like ‘%이장님%’ 과 같은 단어를 처리하지 못하였습니다. 그래서…
아무것도 모르고 시작한 Elasticsearch…. 이제 좀 어느정도 적응중입니다. 전편에서는 설치를 해보았는데… 그냥 쓰면 한글이 잘 검색되지 않습니다. Elasticsearch는 색인을 하여 검색할 단어를 미리 뽑아놓아야지만 원할한 검색이 이루어집니다. 그냥하게되면 빈칸 단위로…